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부터 개설까지

by 정보지키미 2022. 2. 9.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는 자산형성 시책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운용합니다. 10만원씩만 저축하면 정부가 1440만원으로 불려준다고 하는데 지원조건과 신청방법이 궁금하지 않으세요?

일하는 저소득 계층의 청년이 민간에 도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을 촉진하는 교역입니다. 내가 청년일때도 저런 지원이 있었다면 시방 좀 더 잘살지 않을까 하는 각오가 들정도로 좋은 지원 교역입니다. 다만 중대한건 중도해지시 만기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못받을 수 있기에 3년 만기까지 유지하는것이 Key Point 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조건 및 신청방법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부지런한 청년들이 민간에 도착할 수 있도록 목돈을 장만하게 하게하는 건강과 행복사업입니다. 월세, 핸드폰 자금, 식비 등을 충당하기에 과히 벅찬 청년들이 최소한의 자산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여 민간의 일원으로써 당당히 설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디딤돌 몫을 하는 시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0만원씩만 꾸준히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30만원씩을 근로소득 장려금으로 지원하여 3년 후 1440만원을 만들어주는 이변의 저축통장인 셈인데요, 아래에서는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내용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내용

꾸준히 근로활동을 영속하면서 매달 장본인적립금 10만원씩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근로소득장려금으로 가장 월 30만원을 보조해주어 1달에 총 40만원의 재원이 생깁니다. 그리고 3년동안 꾸준히 저축을 하게 되면 가장 1440만원이 적립되고 이에 대한 이자까지 받을 수 존재하는 것입니다.

[본인적립금( 10만 원) + 근로소득장려금( 10만 원 ~ 30만 원)] x 36개월 = 720만원 ~ 1440만원

 

지원조건 -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5 ~ 39세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가구 청년일 것

소득기준 중위소득이 50% 이하일 것

3년간 근로활동을 영속하면서 매월 10만원씩을 저축할 것

국가공인자격증 취득 및 연 1회 교육을 이수할 것

 

 

2022년 규격 중위소득의 50%

1인가구의 경위 972,406

4인가구의 경위 2,560,540원 이므로, 만일 4인 가정이라면, 월 소득 256540원까지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2022년 규격 중위소득의 100%

1인 가구는 1,944,812, 2인가구 3,260,085

3인 가구 4,194,701, 4 5,121,080

5인 가구 6,024,515, 6 6,907,004, 7 7,780,592

 

신청방법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민등록상 관장 주민센터에 내방한다.

신청서 작성을 하고 연관 서면을 제출한다.

주민센터에서 신청자 직책을 탐사하고 대상자 결의를 통고한다.

하나은행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를 개설한다

 

 

오프라인 신청방법

 

※ 제출서류 : 재직증명서, 교역자등록증, 교역활동증명서류, 근래 3개월간 근로·사업소득증명

 

그럼 심사 종결은...??

자격요건으로도 주거, 교육급여 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인지 여부와 근로활동, 자산형성지원사업 중복 가입 여부 등을 체크합니다. 신청인에게 신규계좌 개설, 결실 통고의 경위에는 신청 후 70일 이내에 통지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